1. 성동구 아파트 시장 분위기 및 1기 신도시 재건 축 효과
성동구 아파트 시장은 최 근 1기 신도시 재건축 호재의 영향을 일부 받고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1기 신도시 특별법 발표 이후 수도권 일대의 아파트 가격이 상승하고 거래량이 증가 하는 추세이며, 성동구도 이러한 흐름에 편승하여 가격 상승을 기대하는 분위기가 형성되고 있습니다. 하지만, 전반적인 금리 인상과 경기 침체 우려 등의 거시경제적 요인이 성동구 아파트 시장에 미치는 영 향 또한 무시할 수 없다는 점을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2024년 말부터 2025년 초까지의 자료를 분석해보면, 일부 단지에서는 가격 상승이 나타나고 있지만, 모든 단지에 걸쳐 일관된 상승세를 확인하기는 어 렵습니다. 따라서, 단순히 1기 신도시 재건축 효과 만으로 성동구 아파트 시장의 미래를 낙관적으로 전 망하기는 다소 어려워 보입니다.
2. 지역별 대표 아파트 매물 현황 분석
다음 표는 성동구 각 지역(동)을 대표하는 아파트의 매물 현황을 정리한 것입 니다. 분석에 사용된 데이터는 2024년 12월 28일과 2025년 1월 11일, 12일 데이터를 기준으로 하였습니다.
지역 | 단지명 | 평형대 | 준공시기 | 세대수 | 현관구조 | 층수 | 건폐율 | 용적률 | 가격대 |
---|---|---|---|---|---|---|---|---|---|
금호동1가 | e편한세상금 호파크힐스 | 84㎡ | 2019년 05 월 | 1193세대 | 계단식 | 21층 | 21% | 253% | 16억~19억 |
금호동1가 | e편한세상금호파크힐스 | 59㎡ | 2019년 05월 | 1193세대 | 계단식 | 17 층 | 21% | 253% | 16억 |
금호동2가 | 래미안하이리버 | 84㎡ | 2012년 05월 | 847세대 | 계단식 | 20층 | 20% | 248% | 16억~17억 |
금호동2가 | 래미안하이리버 | 59㎡ | 2012년 05월 | 847세대 | 계단식 | 20층 | 20% | 248% | 14억~15억 |
성수동1 가 | 강변건영 | 84㎡ | 2002년 02월 | 580세대 | 계단 식 | 25층 | 20% | 301% | 21억~22억 |
성 수동1가 | 강변 건영 | 73㎡ | 2002년 02월 | 580세대 | 계단 식 | 24층 | 20% | 301% | 21 억~22억 |
옥수동 | e 편한세상옥수파크힐스 | 84㎡ | 2016년 11월 | 1976세대 | 계단 식 | 20층 | 20% | 208% | 17억~22억 |
옥수동 | e편한세상옥수파크힐스 | 59㎡ | 2016년 11월 | 1976세대 | 계단식 | 20층 | 20% | 208% | 16억~18억 |
행당동 | 서울숲리버뷰자이 | 84㎡ | 2018년 06월 | 1034세대 | 계단식 | 39층 | 19% | 280% | 20억~23억 |
행당동 | 서울숲리버뷰자이 | 59㎡ | 2018년 06월 | 1034세대 | 계단식 | 35층 | 19% | 280% | 17 억~21억 |
하왕십리동 | 센트라스 | 84㎡ | 2016년 11 월 | 2529세대 | 계 단식 | 28층 | 39% | 312% | 17억~19억 |
하왕십리동 | 센트라스 | 59㎡ | 2016년 11월 | 2529세대 | 계 단식 | 28층 | 39% | 312% | 14억~15억 |
위 표를 통해 성동구 내 주요 아파트 단지의 가격대, 준공연도, 세대수, 현관구조 등을 비교 분석할 수 있습니다. 같은 평형대라도 준공시기, 시공사, 위치 등에 따라 가격 차이가 상당함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아파트 층수 및 동별 가격 차이 분석
아래 표는 대표적인 아파 트 단지 내에서 층수 및 동별 가격 차이를 보여줍니 다. 층수가 높을수록, 그리고 선호도가 높은 동일수록 가격이 높게 형성되는 경향이 나타납니다.
지역 | 단지명 | 평형대 | 저층가격 | 중층가격 | 고층가격 | 가 격차이(최고-최저) |
---|---|---|---|---|---|---|
금호동1가 | e편한세상금 호파크힐스 | 84㎡ | 16억 | 17억 | 19억 | 3억 |
금호동1가 | e편한세상금호파크힐스 | 59㎡ | 15억6천만원 | 16억 | 16억3천만원 | 7천만원 |
금호동2가 | 래미안하이리버 | 84㎡ | 16억 | 16억5천만 원 | 17억 | 1억 |
금호동2가 | 래미안하이리버 | 59㎡ | 14억 | 14억5천만원 | 14억5천만원 | 5천만원 |
성수동1가 | 강변건영 | 84㎡ | 21억 | 21억5천만원 | 22억5천 만원 | 1억5천만원 |
성수동1가 | 강 변건영 | 73㎡ | 21억 | 21억5천만원 | 22억 | 1억 |
옥수동 | e편한세상옥수파크힐스 | 84㎡ | 17억 | 19억5천만 원 | 22억 | 5억 |
옥 수동 | e편한세 상옥수파크힐스 | 59㎡ | 16억 | 17억5천만 원 | 19억 | 3억 |
행당동 | 서울숲리버뷰자이 | 84㎡ | 19억5천만원 | 20억5천 만원 | 21억9천만원 | 2억4천만원 |
행당동 | 서울숲리버뷰자이 | 59㎡ | 17억 | 19억 | 21억 | 4억 |
하왕십리동 | 센트라스 | 84㎡ | 16억9천만원 | 17억5천만원 | 19억5천만원 | 2억6천만원 |
하왕십리동 | 센트라스 | 59㎡ | 14억5천만원 | 14억9천만원 | 17억5천만원 | 3억 |
같은 단지 내에서도 동별, 층수별 가격 차이가 최대 수억원까지 발생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향, 조망, 층간 소음, 편의 시설 접근성 등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4. 지역별 저평가 아파트 및 급매물 분석
단순 가격 비교만으로 저 평가 여부를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다음 표는 지역 별 동일 평형대 아파트 중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대를 형성하고 있는 아파트 단지를 추정하여 제시한 것입니다. 이는 주변 시세 및 각 아파트의 특징 (건폐율, 용적률, 준공연도, 현관구조 등)을 고려하여 판 단한 결과이며, 실제 저평가 여부는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합니다. 또한, 각 아파트 단지 내에서 가장 저렴한 가격에 매물로 나온 아파트를 함께 제시합니 다.
지역 | 단지명 | 평형대 | 호가 | 참고사항 |
---|---|---|---|---|
벽산 | 84㎡ | 10억~13억 | 상대적으로 저평가 가능성 | 노후 아파트 |
벽산 | 59㎡ | 10억2천만원 | 급매 | - |
금호자이1차 | 59㎡ | 13억7천만원 | 급매 | - |
성수동아그린 | 59㎡ | 9 억~11억 | 상대 적으로 저평가 가능성 | 노후 아파트 |
성수동아그린 | 58㎡ | 9억 | 급매 | - |
옥수극 동 | 57㎡ | 10억7천만원 | 급매 | - |
행당대림 | 59㎡ | 10억7천만원 | 급매 | - |
극동미라주 | 59㎡ | 8억2천만 원 | 급매 | - |
5. 성동구 아파트 매수 추천 및 추가 분석
성동구는 서울숲, 한강 등 쾌적한 자연환경과 왕십리역, 뚝섬역 등 편리한 교 통 여건을 갖춘 지역입니다. 하지만, 최근 주택 가격 하락세와 더불어 금리 인상에 따른 주담대 부담 증가가 투자 심리를 위축시키고 있는 상황입니다. 따라서, 성동구 아파트 매수를 고려하는 경우, 단순히 가격 상승 기대감만으로 투자 결정을 내리기보다 는, 자신의 재정 상황과 장기적인 투자 계획을 꼼 꼼하게 고려해야 합니다. 특히, 최근 금리 동향을 살펴보고, 주담대 금리 변동에 따른 월 상환액 부 담을 정확히 계산해야 합니다.
요즘 주담대 금리는 변동 성이 커서, 매수 시점에 따라 금리 부담이 크게 달 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금리 변동 위험에 대한 충분한 대비가 필요하며, 변동금리보다는 고정금리 또는 혼합형 금리 상품을 고려하는 것이 안전할 수 있습니다. (사진: 최근 주담대 금리 추이를 보여주는 그래프 첨부)
6. 아파트 단지별 호가 변동 추이 분석
아래 표는 2024년 12월 28일과 2025년 1월 11일, 12일 데이터를 비교하여 아파트 단지별 호가 변동 추이를 보여줍니다. 단, 모든 아파트에 대한 데이터가 완벽하게 일치하지 않아, 일부 단지에 대한 분석만 가능합니다.
단지명 | 날짜 | 호가 | 변동폭 |
---|---|---|---|
e편한세상금호파크힐스 | 2024-12-28 | 16억~20억 | - |
e 편한세상금호파크힐스 | 2025-01-11 | 15억6천만원~23억 | 최대 3억 증가 최소 4천만원 감소 |
래미안하이 리버 | 2024-12-28 | 13억9천만 원~17억 | - |
래미안하이리버 | 2025-01-11 | 13억9천만원~17억2천만원 | 최대 2천2백만원 증가 |
강변건영 | 2024-12-28 | 19억9천만원~22억5천만원 | - |
강변건영 | 2025-01-11 | 20억5천만원~24억 | 최대 1억5천 만원 증가 |
옥수삼성 | 2024-12-28 | 13억4천만원~18억 | - |
옥 수삼성 | 2025-01-11 | 13억4천 만원~18억 | 변 동없음 |
서울숲리버뷰자이 | 2024-12-28 | 17억4천만원~21억9천만원 | - |
서울숲리버뷰자이 | 2025-01-11 | 17억4천만원~22억3천만원 | 최대 1억4천만원 증가 |
센트라스 | 2024-12-28 | 14억5 천만원~19억5천만원 | - |
센트라스 | 2025-01-11 | 14억5천만원~19억5천만원 | 변동 없음 |
7. 성동구 개발 호재 및 지역별 영향 분석
성동구는 여러 개발 호재 를 가지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중랑천 및 서울숲 재정비 사업, 다양한 교통 인프라 개선 계획 등 이 있습니다. 이러한 개발 호재는 성동구 아파트 가격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됩니 다. 하지만, 개발 사업의 지연이나 예상치 못한 변수 발생 등의 리스크도 고려해야 합니다.
8. 결론 및 추가 조언
성동구 아파트 시장은 1기 신도시 재건축 호재와 지역 개발 호재의 영향을 받고 있지만, 전반적인 경기 침체 및 금리 인상 등의 요인도 고려해야 합니다. 따라서, 매수를 결정하기 전에 자신의 재정 상황과 장기적인 투자 계획을 꼼꼼히 검토하고, 전문가의 조언을 구하는 것이 중 요합니다. 본 분석은 제한된 데이터를 바탕으로 작 성되었으므로, 추가적인 조사 및 분석을 통해 투자 결정을 내리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서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노원구 아파트 시장 분석(1월12일) 매물 현황 및 전망 (0) | 2025.01.13 |
---|---|
송파구 아파트 시장 분석(1월 12일): 지역별 가격 동향 및 투자 전망 (0) | 2025.01.12 |
송파구(가락동, 위례 등) 아파트 매매 현황(1월 3일), 투자전망 (3) | 2025.01.03 |
성동구(왕십리, 옥수, 금호 등) 아파트 매매 현황(1월 3일) (1) | 2025.01.03 |
서울 양천구 목동, 신월동, 신정동 아파트 시장 분석(12월27일) (2) | 2024.12.28 |